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

민화 춘향전도 고전 소설 춘향전을 그림으로 표현 「춘향전도」의 정의와 그림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 그림을 제작한 화가와 구매한 사람에 대해 알아봅니다. 끝으로 첨부한 이미지의 「춘향전도」로 만든 병풍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춘향전도」 정의 《춘향전(春香傳)》은 조선 시대의 고전 소설로 작가가 누구인지 언제 소설이 쓰였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 고전 소설은 판소리 계열 소설로 조선의 왕인 영조와 순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뿐입니다. 소설의 내용은 전라도의 남원에 사는 기생에서 물러난 월매(月梅)가 살았는데 월매(月梅)의 딸인 성춘향(成春香)과 오늘날 남원 지방 장관이라 할 수 있는 남원 부사(南原 府使)의 아들인 이몽룡(李夢龍)의 사랑을 담고 있습니다. 이 소설의 내용을 그림으로 그린 것이 「설화도(說話圖)」의 중에 하나로 볼 수 있는 「.. 2022. 6. 17.
민화 화훼도, 화훼화에 등장하는 꽃 종류와 상징 민화 「화훼도」에 그린 꽃의 종류와 꽃이 상징하는 것을 간략하게 알아보고 조선 시대에 「화훼도」를 잘 그렸던 화가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화훼도」는 어떤 그림인가 「화훼도」는 꽃과 풀을 그리는 민화로 꽃과 풀, 그 근처에 사는 곤충을 그린 「초충도」도 포함됩니다. 장식과 실용을 목적으로 그린 그림으로 화려하고 풍부한 색채가 가장 잘 드러난 그림입니다. 보통 병풍이나 화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먹으로 그린 그림과 자수를 놓거나 판화로 찍는 기법도 등장합니다. 조선 시대 행사 용으로 모란을 그린 병풍이 사용되었고 감상 용으로도 많이 제작되었습니다. 「화훼도」는 꽃에 중심을 두었는데 돌이나 풀이 있는 땅 위에 꽃이 있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의 꽃을 한 폭에 그리기도 했.. 2022. 6. 16.
산수화, 민화와 만나 다채로운 매력을 표현 우리나라 산수화의 유래와 흐름을 살펴보고 민화 산수화의 특징과 소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우리나라 「산수화」의 유래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우리나라 산수화의 시초를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덕흥리 고분 벽화에 사냥하는 그림에서 산과 나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산의 표현이 한자어 산자와 비슷하게 생긴 모습으로 표현되었다고 합니다. 이 수렵도에 등장하는 말의 크기보다 작게 그려졌으며 산봉우리에는 나무가 한 그루 그려졌습니다. 산수화가 발전한 시기는 고려 시대부터입니다. 사람을 그린 인물화보다 산과 강 등을 그린 그림이 인물보다 주요 소재로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중국 송나라와 원나라의 그림 그리는 스타일이 전해진 이후에 발전했으며 점차 한국의 고유 스타일을 만들어 나갔다고 합니다. 산수화가 가장.. 2022. 6. 15.
경직도, 농업의 소중함과 백성의 고단함을 표현 신하들은 왕에게 농사일을 하는 백성의 모습을 병풍에 그린 그림으로 간접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이 그림으로 인해 백성들이 느끼는 고단함과 삶의 무게, 그들의 소망을 왕이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경직도」는 백성의 어려움을 이해하려는 왕과 신하, 화가가 노력한 흔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직도」와 바탕이 된 중국의 그림을 살펴보고 지금까지 전해지는 작품을 살펴보겠습니다. 1. 백성들의 삶의 무게를 이해하려는 노력 중국 고대 국가 주나라 시대에는 백성들이 힘들고 어려워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고 그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 정치의 가장 큰 목표였습니다. 이 정치 이념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경직도」입니다. 정치하는 사람들은 백성들의 생계가 달린 농업의 어려움과 그들이 바라는 것을 그림으로 표현한 「경직도」.. 2022. 6. 14.
평생도, 행복한 삶을 살고 싶은 염원을 담은 민화 양반 계층의 남자가 세상에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일어나는 개인의 행사를 그림으로 표현한 그림을 「평생도(平生圖)」라고 합니다. 이 그림은 보통 문관(관리)의 일생을 담았습니다. 조선 시대 평생도(平生圖) 그림의 구성과 종류, 그림의 특징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국립해양박물관에 있는 무관의 일생을 담은 「평생도」로 아주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그림의 구성 사람이 태어나서 사랑을 받고 자라면서, 학교에 가서 높은 성적을 거두는 등 학업에도 뛰어나 원하는 학교와 직장에 가거나 꿈을 이루며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큰 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 잘살기를 바라는 마음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모두 똑같을 것입니다. 후손까지 행복을 누린다면 너무나 큰 복일 것입니다. 사람의 일생을 그린 「평생도」는 이런 욕.. 2022. 6. 13.
연화도, 민화 속 연꽃이 가진 숨은 의미와 상징 이 그림의 정의와 연꽃과 수련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그림의 소재인 연꽃의 특징과 불교와 연꽃, 유교와 연꽃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민화에서 연꽃과 같이 그리는 소재와 그것이 상징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며 연꽃과 관련된 그리스 신화와 《심청전》에 대해서도 아주 간략하게 알아봅니다. 1. 민화 「연화도」의 정의와 분류 연못의 수면 위로 올라온 커다란 꽃과 잎이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하얗게 핀 꽃의 꽃잎을 살펴보면 끝 부분은 붉게 물들여져 있습니다. 진흙을 뚫고 올라온 꽃과 잎은 먼지 한 점 붙어있지 않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연꽃의 모습을 묘사했습니다. 「연화도」는 연꽃을 그린 그림입니다. 연꽃이 그려진 그림은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볼 수 있는데 다양한 연꽃 문양의 연꽃 패턴이 있었.. 2022.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