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1 민화 백동자도 그림의 의미와 놀이가 상징하는 것 민화 백동자도의 기원과 그림의 목적과 의미를 알아봅니다. 또한 그림 속 어린 남자아이들이 어떤 놀이를 하며 그 놀이가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1. 민화 「백동자도」 그림에 많은 어린 남자아이들이 호화로운 건물 밖과 안에서 재미있게 노는 풍경이 보입니다. 화려한 건물과 아이들이 입고 있는 의복 등은 우리나라의 스타일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백동자도」는 여러 명의 어린 남자아이가 다양한 놀이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입니다. 한자어 숫자 100을 의미하는 일백 백(百)자와 아들을 의미하는 아들 자(子)와 그림을 뜻하는 그림 도(圖)자를 합친 「백자도(百子圖)」, 한자어 일백 백(百)자와 어린아이를 의미하는 아이 동(童)자와 그림 도(圖)자를 사용하여 「백동도(百童圖)」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습니다. .. 2022. 6. 11. 민화 해응영일도 바다에서 해를 맞이하는 매 파도가 일렁이는 바다 위 한가운데 해가 붉게 떠오르려 합니다. 바다 위 한가운데 바위 위에 매 한 마리가 고고하게 앉아있습니다. 매의 발톱은 매우 날카로워 보이며 깃털은 묘사가 사실적입니다. 이 장면은 민화 「해응영일도」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이 의미하는 것과 그림을 그린 화가에 대해 알아보고 「가응도」를 그린 작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아래 사진의 「해응영일도(海鷹迎日圖)」 는 어떤 그림인가? 파도가 치는 바다 위에 녹색의 바위가 그 위로 솟아올라 있습니다. 바다 위 파도 사이에는 새빨간 해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아침 해는 붉은 마음을 의미하는 《단심(丹心)》을 뜻합니다. 《단심》이란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정성스러운 마음을 의미합니다. 바위 위에는 매가 늠름한 자태로 앉아 있는 모습을 그렸습니.. 2022. 6. 9. 민화 파초도 기사회생과 부귀를 상징하는 그림 무더운 여름이 조금씩 우리 곁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과 잘 어울리는 민화는 거대하고 푸른 잎이 돋보이는 「파초도」를 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파초》를 그린 민화 작품과 《파초》는 어떤 식물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파초도」의 의미와 상징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불교와 도교의 《파초》 무늬와 여덟 가지 보물과의 관계와 옛날 사람들은 왜 《파초》를 좋아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파초도」 작품 《파초》는 선비들이 즐겨 그리던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뜻하는 사군자와 함께 많이 그려졌습니다. 사군자처럼 절개를 지키는 선비의 모습을 《파초》의 모습에 이입했습니다. 《파초》는 꽃을 그린 그림인 「화훼도」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책거리 그림에도 많이 그려져 그 수를 헤아릴.. 2022. 6. 8. 민화 백선도, 부채 그림으로 재앙을 쫓다. 부채를 그린 그림인 민화 「백선도」를 알기 위해 부채의 역사를 살펴봅니다. 다음으로 부채의 여덟 가지 쓰임을 덕으로 생각한 《팔덕선》과 부채와 나비를 함께 감상할 수 있는 병풍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민화 「백선도」 정의 손으로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의 우리말 부와 대나무를 가늘게 쪼갠다는 우리말 채를 합쳐서 부채라는 우리말이 탄생했습니다. 부채(Korea traditional fan)를 그린 그림인 「백선도(Baekseondo)」 는 백 개의 숫자처럼 많은 부채를 뜻하는 말입니다. 여러 개의 부채가 한 폭에 들어가게 그린 그림인 「백선도」는 여름과 잘 어울리는 민화로 단옷날 부채를 나누어 가지며 더위를 지혜롭게 이겨내려는 조상들의 풍습을 그림에 담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부채의 역사.. 2022. 6. 7. 민화 소상팔경도 산수 그림에 이상 세계를 담다 「소상팔경도」 그림의 배경과 특징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이 그림의 전통적인 주제와 이 그림을 잘 그렸던 조선 시대 화가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끝으로 국립진주박물관의 「소상팔경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상팔경도」란 무엇인가? 「소상팔경도(Sosangpalgyeongdo)」는 중국의 후난성 둥팅호(Dungtingho 洞庭湖 동정호)와 남쪽의 샤오수이강(瀟水 소강)과 샹장강(湘江 상강)이 합류하는 지역의 아름다운 풍경을 여덟 곳을 그린 그림을 뜻합니다. 이 그림은 중국과 일본, 고려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이상 세계를 의미했습니다. 고려와 조선의 지식인들은 중국에 가보지 않은 지역의 절경을 머릿속으로 상상으로 창조하여 그렸습니다. 「소상팔경도」의 유래에는 중국의 북송 시대에 문인 화가 송적.. 2022. 6. 5. 민화 기명절지도 조선의 특별한 정물화 그림 「기명절지도」의 뜻과 어떤 소재가 그려졌는지 이 그림의 변천 과정을 알아봅니다. 또한 이 그림을 잘 그린 조선 시대의 화가들을 알아보고 첨부한 사진에 그려진 그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명절지도(The painting of Bowl and Flower Branch 器皿折枝圖) 는 어떤 그림인가? 《기명절지》그림은 기명(Gimyeong)과 절지(Jeolji)를 합하여 만든 글자로 가장 끝에 한자어 그림 도(圖) 자를 붙여 만들었습니다. 기명(Gimyeong)은 한자어 그릇 기(器)자와 한자어 그릇 명(皿) 자를 합한 글자입니다. 절지(Jeolji 折枝)는 한자어 꺾을 절(折) 자와 한자어 나뭇가지 지(枝) 자를 합하여 만든 글자입니다. 한자어 의미로는 그릇과 꺾은 가지를 그린 그림이라는 뜻입.. 2022. 6. 4.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