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그림이 무엇을 그렸는지 알아보고 이 그림의 종류에 대해 살펴봅니다. 그림의 종류에 따라 그려진 꽃과 곤충, 작은 동물의 종류를 살펴보고 이 그림에 그려진 소재의 뜻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이 그림을 그린 작가인 신사임당과 심사정, 남계우의 작품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초충도(草蟲圖 Chochungdo)의 정의
새와 작은 동물, 꽃을 함께 그린 「화조도(花鳥圖)」에 속하기도 하는 「초충도(Chochungdo 草蟲圖)」는 풀과 곤충 등을 주로 그린 그림으로 개구리 같은 양서류(兩棲類)도 포함됩니다. 「화조도」가 키가 큰 꽃나무와 새를 그렸다면, 「초충도(Chochungdo 草蟲圖)」는 주로 작은 풀과 꽃을 그렸는데 그 주변에 서식하는 작은 곤충도 같이 그리거나 고슴도치 같은 작은 동물도 함께 그려졌습니다. 주변에 흔하게 있는 자연 소재는 과장되지 않고 자유롭게 그린 작품들이 많습니다.
2. 초충도(Chochungdo 草蟲圖)의 종류
초충도는 크게 아래와 같이 여섯 가지로 나눕니다.
① 초충도(草蟲圖 Chochungdo) - 풀을 뜻하는 한자어 초(草) 자와 벌레를 뜻하는 한자어 충(蟲) 자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풀과 주변의 풀벌레를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② 화훼도(花卉圖 Hwahwedo) - 한자어 꽃 화(花) 자와 한자어 풀 훼(卉) 자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꽃과 풀을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③ 충금도(蟲禽圖 Chunggeumdo) - 벌레를 뜻하는 한자어 충(蟲) 자와 날짐승 새를 뜻하는 한자어 금(禽) 자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새와 곤충을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④ 원소도(園蔬圖 Wonsodo) - 밭을 뜻하는 한자어 원(園) 자와 채소의 한자어 채소 소(蔬) 자를 합하여 채소와 작은 과일나무를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⑤ 승접도(蠅蝶圖 Seungjeopdo) - 파리의 한자어인 파리 승(蠅)과 나비의 한자어인 나비 접(蝶)을 합하여 파리와 나비를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⑥ 봉선도(蜂蟬圖 Bongsundo) - 벌의 한자어인 벌 봉(蜂) 자와 매미의 한자어인 매미 선(蟬) 자를 합하여 벌과 매미를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3. 초충도(Chochungdo)의 소재와 뜻
고려청자에 이미 풀벌레 문양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시대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자연 소재인 꽃과 풀, 과일, 곤충, 작은 동물을 사용하였습니다. 꽃은 여성을 상징하고 나비는 남성을 상징하였습니다. 덩굴 식물에 속하는 식물들은 자손이 많기를 바라는 《다자다손(Dajadason 多子多孫)》과 《만대(Mandae 蔓帶)》를 기원하는 의미로 사용하였습니다. 만대(蔓帶)는 덩굴을 의미하는 한자어로 자손이 만대(Mandae)로 이어져 번창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렇듯 초충도(Chochungdo 草蟲圖)는 남녀 간의 화합과 새로운 생명의 번창을 기원했습니다. 다섯 가지 복이라는 《오복(Obok 五福)》을 기원하여 주로 부인들의 방과 신혼 방에 많이 장식되었다고 합니다.
① 과일과 채소 - 포도, 수박, 가지, 참외, 오이, 호박
포도의 의미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주렁주렁 탐스러운 형태로 매달린 포도알은 자손의 번창을 바라는 마음을 담았으며, 포도가 넝쿨이 길게 뻗어가는 형태는 《부귀장수》를 의미합니다. 수박은 오래 살고 복을 누린다는 뜻의 한자어 수복(壽福)과 발음이 비슷하여 장수와 복을 상징합니다. 가지는 한자로 가자(茄子)라고 하는데 아들을 많이 낳으라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초충도(Chochnhdo 草蟲圖)」에는 보라색을 띤 가지 외에도 하얀 가지도 그렸는데 귀한 자식을 상징합니다.
② 맨드라미, 양귀비, 패랭이꽃, 도라지꽃
맨드라미는 수탉의 볏처럼 생겼기 때문에 계관화(鷄冠花)로 불렸으며, 《장원급제(壯元及第)》와 출세를 의미하였습니다.
양귀비는 주머니처럼 생긴 씨방에 씨앗이 가득 들어있어 아름다움과 풍요, 아이를 많이 낳는 것을 상징하였습니다. 패랭이 꽃은 줄기가 대나무를 닮아 한자로 《석죽화(石竹花)》로 표현합니다. 바위를 뜻하는 한자 석(石)과 축하한다는 의미의 한자 축(祝) 자와 같은 중국 방식의 발음으로 생각하는 죽(竹) 자와 만나 장수를 축하한다는 의미로 여겼습니다. 패랭이 꽃은 생명력이 남다른 꽃으로 알려져 있는데 모래밭에서도 자랄 만큼 강인합니다. 패랭이 꽃을 뒤집으면 옛날 장사꾼 모자와 비슷하여 패랭이 모(패랭이 모자)라고 불렀습니다. 도라지 꽃은 경사를 축하는 의미로 주로 자녀의 방에 장식했다고 합니다.
③ 곤충-방아깨비, 여치, 메뚜기, 매미, 나비
방아깨비, 여치, 메뚜기는 한 번에 많은 수의 알을 낳아 자손 번창을 상징합니다. 매미 다섯 가지 덕(德)을 상징하며, 다섯 가지 덕(五德)은 군자가 갖추어야 하는 도리를 의미합니다. 나비는 행운과 기쁨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남자에 비유학기도 하였습니다.
④ 양서류-수중과 육상 두 곳에서 사는 생물인 개구리와 두꺼비, 도마뱀
개구리는 올챙이가 변한 것으로 상서로운 동물로 알려졌습니다, 사람의 재물을 맡아보는 신으로 여기며 많은 알을 낳아 아이를 많이 낳는 것을 상징하였습니다. 두꺼비는 집을 지키며, 《재복(財福)》을 상징합니다. 도마뱀은 용을 닮은 동물이라 생각하여 사대부와 일반 백성들이 용을 대신하여 그렸습니다.
⑤ 박쥐, 두꺼비, 고슴도치
박쥐는 한자어로 《편복(蝙蝠 Pyeonbok)》이라 적는데 복을 뜻하는 글자와 발음이 같아서 복을 상징합니다. 두꺼비는 재산을 지키고 나쁜 운을 막는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상상의 동물인 세 발 달린 두꺼비라는 뜻의 삼족섬(Samjoksum 三足蟾)은 상서로운 동물로 큰 행운과 큰 재물을 주는 것을 상징하였습니다. 고슴도치는 등 전체에 바늘과 같은 형태의 가시가 돋아있어 풍요와 풍년, 재물로 인하여 얻는 복(財福)을 의미합니다.
4. 초충도(草蟲圖) 작가와 작품
초충도(草蟲圖)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신사임당과 심사정, 조선 시대 때 나비 그림의 대가로 칭송받던 남나비라는 별명을 가졌던 남계우(南啓宇)를 들 수 있습니다.
① 신사임당(申師任堂)(1504년~1551년)
시인이자 화가였던 신사임당은 5만 원 지폐에 등장하는 분으로 조선 시대 위대한 학자 율곡(栗谷, pen name)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알려졌습니다. 5만 원 지폐에는 그녀의 초상과 그녀의 작품인 초충수병도(草蟲繡屛圖) 자수 병풍에서 가져온 이미지가 그려있습니다. 풀과 나비, 잠자리와 민들레, 패랭이 꽃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병풍입니다. 5천 원 지폐에도 앞면은 율곡(栗谷, pen name) 이이(李珥)의 초상화가 뒷면은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그린 민화 「초충도」가 있습니다. 수박과 여치, 맨드라미와 개구리 그림이 들어갔습니다. 가장 유명한 그림은 초충도(草蟲圖)이지만 실제로 그녀는 산수화와 포도를 그리는 것에 특히 뛰어난 솜씨를 발휘했다고 전해집니다. 율곡(栗谷, pen name) 이이(李珥)는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행장(行狀, a postscript to a person's death)을 작성했는데 산수화와 포도 그림에 뛰어나셨음을 기록하였습니다.
② 심사정(沈師正)(1707년~1769년)
김홍도와 함께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화가로 꽃과 곤충 그림, 새와 짐승 그림, 산수화에도 뛰어난 솜씨를 발휘했습니다. 화훼초충(꽃과 곤충) 그림에는 향이 아주 멀리 퍼진다는 금목서 나무에 주황 색 꽃이 군데군데 피어있습니다. 금목서 나무 위에는 한 마리의 매미가 앉아있으며 그 아래는 붉은 열매가 달린 구기자 나무도 보입니다. 그림 하단의 바위에는 국화와 방아깨비 한 마리가 있습니다. 이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③ 남계우(南啓宇)(1811년~1890년)
문인 화가로 나비와 꽃 그림을 즐겨 그려 많은 작품이 있습니다. 정교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한 나비로 명성이 자자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한 남계우필화접도(남계우南啓宇가 그린 꽃과 나비 南啓宇筆胡蝶圖)를 살펴보면 첨부한 붉은 색의 모란과 하얀 모란, 붓꽃 등 꽃 위를 노니는 나비들이 아름답게 묘사된 그림이 있습니다. 그림을 그린 종이에는 금을 얇게 펴서 만든 금박 장식이 들어가 화려함을 더했습니다.
'민화 단청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피도 나쁜 것을 물리치는 호랑이 표범 가죽 그림 (0) | 2022.05.18 |
---|---|
민화 장생도에 담긴 십장생의 의미와 상징 (1) | 2022.05.16 |
민화 화조도, 부부의 화합과 행복을 바라는 마음 (0) | 2022.05.14 |
호랑이 나라의 민화, 까치와 호랑이 호작도(虎鵲圖) (0) | 2022.05.13 |
민화 영모화 강아지와 고양이 등, 화가 이암과 변상벽 (0) | 2022.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