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화 단청 공부

민화 장생도에 담긴 십장생의 의미와 상징

by 아오_ 2022. 5. 16.

장생도
장생도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이 그림에 대한 정의와 이 그림에 그린 《십장생》의 뜻을 알아봅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십장생》의 의미를 살펴보고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이 첨부한 그림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1. 장생도(The painting for eternal life 長生圖) 정의

불로장생(不老長生, eternal life)을 바라는 마음을 담은 민화(folk painting)입니다. 다섯 가지 복(五福, Five blessings)의 첫 번째인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이 그림은 「십장생도(十長生圖, 열 가지 오래 사는 자연물을 그린 그림)」를 비롯하여 「송학도(소나무와 학이 그려진 그림)」,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바다, 해, 학, 복숭아가 그려진 그림)」 등이 있습니다.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a folk painting of five peaks, the sun and the moon)」와 「영지도(靈芝圖, A folk picture of a mushroom that gives eternal life)」, 「선도도(仙桃圖, 초인과 복숭아를 그린 그림)」, 「송학도(松鶴圖, 소나무와 학을 그림)」, 「백학도(百鶴圖, 백 마리의 학을 그린 그림)」, 「쌍려도(雙鹿圖, 한 쌍의 사슴을 그린 그림)」 등도 넓게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는 화초와 산수 그림, 인물 그림이 그려지기도 했으며 화초 그림에서는 소나무와 사슴, 학, 불로초(Elixir plant), 돌 등이 함께 그려졌습니다. 《회갑(花甲, 61세를 의미)》 잔치 병풍으로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2. 십장생(十長生)의 뜻과 소재

영원히 살거나 오래 산다고 생각하는 늙지 않고 오래 사는 것을 상징하는 10가지의 자연물(自然物)을 말합니다. 오래 사는 것에 대한 희망을 10가지의 자연 소재로 표현하였는데 도교의 신선 사상이 우리나라의 민간 신앙과 자연 숭배가 첨가되었습니다. 민화에서는 10가지의 소재가 거의 겹쳤지만 조금 달라지기도 했습니다. 고려 말기 학자인 이색의 시문집(詩文集, a book of poetry and prose)인 《목은집(牧隱集)》에는 새해를 축하하며 임금님이 내린 그림인 세화(歲畫)에 십장생(十長生)에 관련한 내용이 나옵니다. 안타깝게도 이 작품은 기록으로만 남아있는데, 이 그림에는 해, 구름, 물, 돌(바위), 소나무, 대나무, 학, 거북, 사슴, 영지(Reishi mushroom)가 등장합니다. 다른 「십장생도(十長生圖)」를 살펴보면 구름 대신 달이 등장합니다. 또한 복숭아나 산과 물고기와 같이 다른 것들이 등장하는데 장수를 상징하는 여러 자연물 중에서 열 가지를 그리거나 열 개를 넘게 그리기도 하였습니다. 경복궁 자경전의 굴뚝에는 십장생 문양을 살펴보면 국화, 연꽃, 포도 등이 추가되었습니다. 중국의 십장생(十長生) 그림에는 산을 포함하고 대나무를 제외한다고 합니다. 십장생도(十長生圖, 열 가지 오래 사는 자연물을 그린 그림)는 주로 궁중에서 그림을 그리는 화원들에 의해 그려졌습니다. 걱정이나 탈이 없음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병풍으로 만들어 궁궐 내부를 장식하거나 창을 장식할 때 사용하거나 궁중 행사에도 사용되었습니다.

3. 장생도(The painting for eternal life 長生圖)의 소재와 십장생의 의미

① 해와 달을 그리는 것은 낮은 해가 밤은 달이 밝게 비춘다는 뜻입니다. ② 구름은 속세를 벗어 신선의 세계, 뭉게구름은 좋은 징조를 의미합니다. 구름은 자연의 조화, 멋지게 노는 것, 장수를 상징합니다. ③ 물은 생명의 근원으로 생명력과 복, 깨끗함을 상징합니다. ④ 돌(바위)는 오랜 세월에도 변하지 않는 바위의 모습이 장수를 상징하며, 남성과 군자를 의미합니다. ⑤ 소나무-는 신뢰와 믿음을 상징하는 소나무는 선비의 절개(節槪, 신념, 신의를 굳게 지키는 태도)를 의미하여 이상적인 세계를 구현하는 존재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소나무는 장수의 상징으로도 사용합니다. ⑥ 대나무는 사군자의 하나로 대나무는 장수와 불변을 상징합니다. 또한 대나무는 군자의 기개(氣槪, 씩씩한 기상과 굳은 절개)를 의미합니다. ⑦ 학- 학은 새 중의 으뜸으로 신선이 타고 다니는 새인 학은 1천 년이 된 학은 청학(靑鶴, a blue crane) 2천 년이 되면 한자어 검을 현(玄) 자를 사용하여 현학(玄鶴)이 되면서 불사조로 변한다고 믿었습니다. 학은 불사(不死, immortality)를 상징합니다. 학은 또한, 세상에 이름을 떨친다는 뜻으로 《입신출세(立身出世)》를 상징합니다. ⑧ 거북- 거북은 만년을 살 수 있다는 동물로 영원과 지혜, 인내, 재물이 많은 것을 상징합니다. ⑨ 사슴은 수명이 긴 동물로 생각했는데 신선의 심부름꾼으로 선함과 평화, 우정을 상징합니다. 사슴은 재생되는 뿔로 인해 재생과 장수와 재생 의미하기도 합니다. 사슴 역시 학처럼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동물 중 하나로 한 쌍으로 그립니다. 수사슴의 입에는 불로초(Elixir plant)를 물고 있는 그림이 있습니다. 흰 사슴은 장수와 운수가 좋을 일이 생긴다는 의미를 함께 나타냅니다. ⑩ 영지버섯은 먹으면 늙지 않는다는 불로초(Elixir 不老草)를 상징하는 것으로 영지버섯(Reishi mushroom)은 늙지 않고 오래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영지버섯(Reishi mushroom)에는 잎사귀가 없지만, 불로초(Elixir plant)를 표현하기 위해 그려 넣기도 하였습니다. 영지버섯은 뜻한 것을 이룬다는 상징으로도 사용합니다. ⑪ 복숭아는 중국 설화에서 천상에서 열리는 과일이었던 천도 복숭아를 먹으면 늙지 않고 오래 산다고 하여 복숭아는 장수와 이상향을 상징합니다. ⑫ 산은 불변을 상징합니다.

4. 첨부한 장생도(The painting for eternal life 長生圖) 작품 설명

첨부한 작품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인 「장생도(The painting for eternal life)」 병풍입니다. 총 네 폭의 병풍으로 비단에 그림을 그렸는데 장수를 상징하는 자연물을 그렸습니다. 산, 바다, 소나무, 대나무, 복숭아, 불로초(Elixir plant 不老草) 등을 그렸습니다. 불로초는(elixir plant 不老草) 영지버섯(Reishi mushroom)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