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화 단청 공부

민화 문자도 글자를 그림처럼 표현 염원을 담다

by 아오_ 2022. 5. 19.

백수백복 자수 병풍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백수백복 자수 병풍 국립고궁박물관

이 그림의 정의와 이 그림이 유래된 유교의 기본 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 항목의 뜻을 살펴봅니다. 또한 이 그림이 상징하는 것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끝으로 이 그림을 분류하여 《효제도》와 《백수백복도》를 알아봅니다.

1. 문자도(文字圖, Munjado, Korean Folk Painting) 정의

글자에 고사(故事,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역사적인 일)의 의미를 담은 그림입니다. 혹은 의미가 좋은 글자를 골라 각각의 글자나 두 글자, 네 글자로 조합하여 문양처럼 그리기도 하였습니다. 그 외에 용이나 범, 거북이 글자를 이용하여 수호 성격의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습니다. 유교의 세 가지 기본 윤리 강령(綱領) 과 다섯 가지 실천 항목을 《삼강오륜(三綱五倫)》이라 합니다. 이 《삼강오륜(三綱五倫)》을 포함한 8개의 글자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장식하였습니다. 8개의 글자는 한자어 효 孝(부모님을 잘 모시다), 제 悌 (공손하다), 충 忠 (충성한다), 신 信 (신의가 있다), 예 禮 (예의를 지킨다), 의 義 (의리가 있다), 염 廉 (청렴하다), 치 恥 (부끄러움)이 있습니다.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의 글자 안에 꽃이나 각 글자에 해당하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역사적인 일을 그려 넣었습니다. 글자와 그림이 조화를 이루었습니다. 8폭으로 많이 제작된 문자 그림은 아이 방의 병풍 그림으로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2. 이 그림이 유래된 유교의 기본 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 항목 뜻

유교의 기본 강령 세 가지 중 첫 번째는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기본입니다. 두 번째는 자식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기본입니다. 세 번째는 아내가 남편을 섬기는 것이 기본입니다.

유교의 다섯 가지 실천 항목 중 첫 번째로 부모와 자녀 사이에는 부모는 자녀에게 마음이 어질고 자애로워야 하며,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이 있어야 합니다. 두 번째는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합니다. 세 번째는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서로 존경심을 가지고 예의가 있어야 합니다. 네 번째는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를 지켜야 합니다. 다섯 번째는 친구 사이에는 신의를 지켜야 합니다.

3. 이 그림의 상징과 의미

글자에 그림을 넣어 그린 이 그림은 유교에서 내세우는 교훈을 문맹인 백성들에게 문자 그림을 통해서 문자의 의미를 전달하려는 교화의 목적이 있었습니다. 좋은 일이 일어날 조짐을 의미하는 뜻이 좋은 글자를 조합하여 만든 이 그림은 복을 받기를 원한다는 뜻이 들어있습니다.

4. 문자도(文字圖, Munjado, Korean Folk Painting)의 분류

「효제도(孝悌圖, Hyojedo, Korean Folk Painting)」는 유교의 핵심 윤리를 문자 그림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한자어 효(孝) 자에 잉어가 그려진 그림은 추운 겨울에 계모를 위해 구하기 힘든 잉어를 잡아온 효자(孝子 devoted son)의 이야기에서 출발합니다. 효도하는 마음을 본받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효도하는 마음 외에도 형제와 이웃 간의 우정과 예절, 의리, 청렴 등을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문자의 의미보다는 장식하는 것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문자의 형태가 무시된 그림이 많아졌습니다. 한자어 효(孝)자 그림에는 주로 잉어, 대나무, 죽순, 거문고, 부채, 귤 등이 그려집니다. 한자어 제(悌)자 그림에는 할미새(wagtail)와 산 앵두나무의 꽃 등이 그려졌습니다. 한자어 충(忠)자 그림에는 용, 잉어, 대합, 새우, 대나무 등이 그려졌습니다. 한자어 신(信)자 그림에는 흰 기러기와 푸른 새 등이 그려졌습니다. 한자어 예(禮)자 그림에는 책을 등에 짊어진 거북이와 살구 꽃, 책 등이 그려졌습니다. 한자어 의(義)자 그림에는 복숭아 꽃, 물수리(Osprey) 한 쌍, 연꽃 등이 그려졌습니다. 한자어 염(廉)자 그림에는 봉황, 게, 사람 등이 그려졌습니다. 한자어 치(恥)자 그림에는 중국 은나라가 망하자 산속에 들어가 고사리만 먹고 살다 굶어 죽는 두 사람의 산에서 사는 모습이 그려졌습니다. 달 속에 방아를 찧는 토끼와 매화를 그리기도 하였습니다.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 Baeksubaekbokdo, Korean Folk Painting)」는 한자어로 오래 산다는 뜻의 수壽와 좋은 운수 뜻의 복福에서 백百자를 모두 다른 모양으로 그린 것을 말합니다. 백은 많다는 의미로 복을 많이 받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무병장수와 많은 복이 함께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있습니다. 이 그림 중에는 개구리, 도자기, 새 등 장수와 복을 상징하는 것을 단순화시켜 그림에 집어 넣은 작품도 있습니다. 왕실에서 제작하여 민간으로 퍼진 것으로 보입니다. 사랑방에 족자와 병풍의 형태로 장식되었습니다.

문자도
문자도 효제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