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그림과 관련된 설명과 각 그림에 등장하는 효자가 부모에게 효도한 일과 관련된 고사성어에 대해 함께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 그림에 2폭은 관련된 옛날 이야기가 어떤 것인지 찾지 못했습니다.
그림 설명
이 그림은 부모에게 효도하는 효자들의 효와 관련된 일화를 그린 것입니다. 《맹종읍죽(孟宗泣竹)》, 《자로부미(子路負米)》, 《황향선침(黃香扇枕)》, 《왕상부빙(王祥剖氷)》 등 고사성어가 그림 상단에 묵으로 적혀있습니다. 그리고 각 그림에는 이와 관련한 효자의 일들이 그려졌습니다. 첨부한 그림은 국립민속박물관에 있는 8폭의 병풍에 그려진 그림입니다.
1. 맹종읍죽(孟宗泣竹)
한자어 맏 맹(孟)자, 마루 종(宗)자, 울 읍(泣)자, 대나무 죽(竹)자를 사용하였습니다. 중국 오나라의 맹종이 오랫동안 아픈 어머니를 위해 죽순을 찾았습니다. 그러나 겨울이라 땅이 얼어서 죽순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자 그는 대나무 숲에 들어가서 울었는데 그의 눈물이 떨어진 곳에서 죽순 두 줄기가 올라왔습니다. 그는 이 죽순을 가지고 집에 돌아가서 죽순을 끓여 어머니께 드렸습니다. 이 죽순을 먹은 어머니는 병이 치료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대나무 숲에서 죽순을 구하지 못해서 울고 있는 그의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문자도에서는 이 스토리를 가져와서 한자어 효도 효(孝)자에 잉어를 넣어 그리기도 합니다.
2. 자로부미(子路負米)
한자어 아들 자(子)와, 길 로(路), 질 부(負), 쌀 미(米)를 사용하였습니다. 공자의 제자였던 자로(子路)는 매우 가난했는데 부모님을 정성스럽게 공양했습니다. 그는 매일 쌀을 매우 먼 곳까지 배달하는 일을 하며 번 돈으로 부모님을 공양했습니다.
3. 곽건득금(郭建得金)
한자어 둘레 곽(郭)자, 세울 건(建)자, 얻을 득(得)자, 금 금(金)자를 사용했습니다. 곽건이 금을 얻었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이 말은 검색했을 때 찾아 볼 수 없었지만 맹희득금(孟熙得金)이라는 김홍도가 그린 그림이 있습니다. 중국의 촉나라 맹희와 관련된 이야기로 집이 매우 가난했는데 부모님을 잘 공양했습니다. 그의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그는 잘 먹지도 않고 울고 지내며, 삼 년 동안 소금과 간장으로 간을 한 음식을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쥐가 땅을 파고 들어가는 것을 본 그가 그 땅을 파헤쳤습니다. 땅속에는 황금이 엄청나게 있어서 큰 부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 외에 이름이 비슷한 곽거(郭巨)에 관련된 이야기가 있습니다. 연세가 많은 어머니를 봉양하려 자식을 땅에 묻다가 황금 솥을 얻은 이야기입니다. 앞의 이야기보다 그림에서 어린아이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곽거의 이야기가 맞는 것 같습니다. 황금 솥을 얻은 그는 가난에서 벗어나 나이 든 어머니를 잘 봉양하고 자식도 살릴 수 있었다고 합니다.
4. 설포쇄소(薛包灑掃)
한자어 성씨 설(薛)자, 쌀 포(包)자, 깨끗할 쇄(灑)자, 쓸 소(掃)자를 사용했습니다. 중국 한(漢)나라에 설포(薛包)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새로운 아내가 생긴 아버지의 미움을 받아 집에서 쫓겨났습니다. 하지만 그는 아버지를 원망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매일 아버지의 집 앞에 와서 그 앞을 청소했습니다. 이 일을 그린 그림은 설포가 빗자루를 들고 바닥에 엎드린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첨부한 그림을 그린 작가
5. 황향선침(黃香扇枕)
한자어 누를 황(黃)자, 향기 향(香)자, 부채 선(扇)자, 베개 침(枕)자를 사용했습니다. 이 한자어는 황향이 베개에 부채질하여 효심이 깊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중국 한(漢)나라에 황향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여름이 오면 부모님의 베개에 미리 부채질하여 부모님이 시원하게 주무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는 겨울이 오면 자신의 체온으로 미리 부모님의 이불을 데워 부모님이 따뜻하게 주무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6. 옥천익주(玉廌益薵)
한자어 구슬 옥(玉)자, 천거할 천(廌)자, 더할 익(益)자, 파 주(薵)자를 사용했습니다. 어떤 이야기와 연관된 것인지 저는 찾지 못했습니다. 저도 궁금합니다.
7. 양향액사(楊香搤虒)
한자어 버들 양(楊)자, 향기 향(香)자, 조를 액(搤)자, 뿔범(전설의 동물) 사(虒)자를 사용했습니다. 호랑이가 그려진 그림인데 어떤 이야기와 연관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8. 왕상부빙(王祥剖氷)
한자어 임금 왕(王)자, 상서 상(祥)자, 얼음 빙(氷)자, 잉어 리(鯉)자를 사용하였습니다. 중국 진나라 왕상(王祥)이 계모 부씨를 위해 추운 겨울에 물고기를 잡으러 나갔습니다. 겨울이라 물이 얼어서 물고기를 잡을 수가 없었는데 그는 체온으로 얼음을 녹이기 위해 얼음 위에 엎드렸습니다. 그러자 얼음이 깨지면서 물고기가 위로 뛰어올랐습니다. 이 물고기는 잉어였습니다. 그는 잉어를 잡아서 그녀에게 주었습니다. 그림의 장면은 주인공이 얼음 판 위에 엎드리자 잉어가 얼을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민화 단청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적 민화에 나타나는 불교의 상징물 정리 (0) | 2022.08.07 |
---|---|
민화에 잘 그려진 꽃과 각 월을 상징하는 꽃 정리 (0) | 2022.08.02 |
화접도를 잘 그린 화가와 나비 민화 상징과 의미 (0) | 2022.07.26 |
민화 괴석도 기이한 바위를 그린 그림과 정학교 (0) | 2022.07.23 |
무신도 무속 신앙의 신을 그린 종교적 옛 그림 민화 (0) | 2022.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