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수화의 유래와 흐름을 살펴보고 민화 산수화의 특징과 소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우리나라 「산수화」의 유래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우리나라 산수화의 시초를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덕흥리 고분 벽화에 사냥하는 그림에서 산과 나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산의 표현이 한자어 산자와 비슷하게 생긴 모습으로 표현되었다고 합니다. 이 수렵도에 등장하는 말의 크기보다 작게 그려졌으며 산봉우리에는 나무가 한 그루 그려졌습니다. 산수화가 발전한 시기는 고려 시대부터입니다. 사람을 그린 인물화보다 산과 강 등을 그린 그림이 인물보다 주요 소재로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중국 송나라와 원나라의 그림 그리는 스타일이 전해진 이후에 발전했으며 점차 한국의 고유 스타일을 만들어 나갔다고 합니다. 산수화가 가장 많이 제작되었던 시기는 조선 시대라고 합니다. 미술 시간에 배웠던 정선과 김홍도 화가 등 많은 화가가 중국의 산수화를 그리는 스타일을 탈피하여 진경산수화라는 조선의 새로운 산수화를 그리는 스타일을 확립했습니다. 조선의 새로운 산수화를 그리는 스타일을 창시한 사람은 정선입니다. 진경산수화가 탄생하며 민화에서도 산수화가 많이 발전하기 시작합니다.
2. 민화 산수화의 특징
민화 산수화는 사실보다는 해당 풍경이 지닌 상징성에 더욱 주목했습니다. 산수화에는 대체로 구름과 나무, 폭포, 강, 정자, 배, 어부, 물고기 등 일정한 형식 만들어 그림으로 같이 그렸습니다. 일정한 시점에서 본 물체와 공간을 멀고 가까움이 느껴지도록 평면 위에 표현하는 그리는 방식이 완전히 무시되는데 산보다 폭포를 훨씬 크게 그리는 식으로 무시했습니다. 전통적인 산수화가 이상적인 세계를 표현했다면 민화 산수화는 조금 더 현실에 발을 붙인 그림으로 그리는 사람이 생각하는 간절한 마음을 자유롭게 독창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보통 8폭에서 10폭 병풍 그림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각 풍경에는 꽃과 동물을 함께 그려 각 소재가 주는 의미를 더하며 그림에 생기를 불어넣은 것이 특징입니다.
3. 민화 산수화의 소재 중 중국의 산과 강
중국의 무이산의 이름난 장소 아홉 곳(무이구곡)과 양쯔강의 남쪽에 위치한 소강과 상강이 합류하는 곳의 아름다운 장소 여덟 곳(소상팔경 瀟湘八景)을 소재로 다루었습니다. 민화 산수화에서 소상팔경은 가장 많이 그려진 주제로 조선 초기에는 중국에서보다 더 활발히 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무이산의 아홉 골짜기에 대한 노래인 무이도가는 남송 시대에 성리학자인 주희(朱熹)(1130년~1200년) 가 무이산에서 지내면서 학문을 연구하고 뱃놀이를 즐기면서 지은 노래입니다. 이 노래를 바탕으로 무이구곡도가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조선의 문인들은 무이구곡을 주희를 기리는 공간으로 생각하여 꼭 한번 가보고 싶은 곳이 되었습니다. 이런 흐름은 나만의 무이구곡을 만들고 싶은 움직임으로 발전했습니다. 조선 시대 학자인 이황(李滉)(1501년~1570년)의 도산구곡(陶山九曲), 송시열(宋時烈)(1607년~1689년)의 화양구곡(華陽九曲), 이이(李珥)(1536년~1584년)의 고산구곡(高山九曲)은 이러한 흐름이 반영된 것입니다.
4. 민화 산수화의 소재 중 한국의 산과 강
금강산과 관동지역의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장소 여덟 곳(관동팔경)과 율곡 이이가 세상을 피해서 숨어 살았다는 황해도 고산군 석담리의 경치 좋은 아홉 장소(고산구곡), 충청북도 괴산에 자리한 화양동 계곡의 이름난 아홉 장소(화양구곡), 제주도 등 우리나라의 산과 강을 소재로 다루었습니다.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는 고려 후기부터 그려졌으며, 무이구곡(夷夷九曲)은 조선 시대 중기부터 그려졌습니다. 금강산도(金剛山圖)와 관동팔경도(關東八景圖),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는 조선 시대 후기에 인기가 많았다고 합니다. 민화에서 금강산을 그릴 때 실제의 모습보다 좀 더 소재의 이름과 유사하도록 그림을 그렸는데 산봉우리를 불꽃 모양으로 그리는 식이었습니다. 금강산도(金剛山圖)는 이어지는 그림과 파노라마로 산을 그린 그림이 많이 전해집니다. 다른 민화에 비해 먹으로 그린 그림이 많다고 합니다. 강원도 해안을 따라 멋진 경치를 그린 그림인 관동팔경도 민화는 금강산도 민화와 함께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 많이 그려졌습니다. 관동팔경도(關東八景圖) 그림도 인기가 많았는데 평양 지역의 경치 좋은 곳을 그린 관서팔경도(關西八景圖)와 같은 각 지방의 경치 좋은 곳을 담은 팔경도의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팔경도 그림에 장소마다 이름을 직접적으로 쓰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같은 장소라도 그리는 사람들이 자신의 개성을 살려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채색과 구도가 모두 달라 다양한 것이 특징입니다.
'민화 단청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화 춘향전도 고전 소설 춘향전을 그림으로 표현 (0) | 2022.06.17 |
---|---|
민화 화훼도, 화훼화에 등장하는 꽃 종류와 상징 (0) | 2022.06.16 |
경직도, 농업의 소중함과 백성의 고단함을 표현 (0) | 2022.06.14 |
평생도, 행복한 삶을 살고 싶은 염원을 담은 민화 (0) | 2022.06.13 |
연화도, 민화 속 연꽃이 가진 숨은 의미와 상징 (0) | 2022.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