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그림의 정의와 특징,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그림의 정의와 의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심사정과 그가 그린 잉어 그림에 대해 살펴보며, 쏘가리 그림의 의미와 상징에 대해 살펴봅니다. 메기 그림의 의미와 상징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봅니다.
1. 「어해도(漁蟹圖)」의 정의
민화(folk painting)에서 물고기와 게 등의 수상 생물을 그린 그림입니다.
2. 「어해도」의 특징
「어해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쌍을 지어 다정하게 노니는 물고기들의 모습입니다. 화합의 의미를 나타내며 알을 정말 많이 낳는 물고기는 자식을 많이 낳는 것을 상징합니다. 특히, 배가 부른 물고기는 풍요를 나타냅니다. 한 그림에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를 넣어 평화와 자손을 상징한 것을 「유어도」(물고기가 헤엄치고 노는 모습의 그림), 「백어도」(물고기 백 마리를 꽃과 수초, 바위 등과 함께 그린 그림)라고 부릅니다. 자나 깨나 눈을 뜨고 지내는 물고기는 도둑으로부터 어떤 것을 지킨다는 나쁜 것을 막는 의미가 있습니다. 도둑으로부터 지킨다는 이유로 곳간의 자물쇠에는 붕어 형상이 많았으며, 귀중품을 보관하는 벽장의 문 장식에도 큰 물고기 그림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물고기를 그린 그림인 「어해도(漁蟹圖)」에 주로 등장하는 물고기는 붕어, 잉어, 쏘가리, 방어, 피라미, 송사리, 복, 메기, 홍어, 꼴뚜기, 가오리, 가자미, 새우, 게, 홍합, 조개, 대합, 전복 등이 있습니다.
3. 《어변성룡도》 정의
잉어가 공중으로 뛰어올라 용으로 변하는 상황을 그린 그림입니다. 중국의 옛날 일에서 비롯되었습니다.
4. 민화 《어변성룡도》 의미
민화 《어변성룡도》는 등용문(登龍門) 설화에서 잉어가 용문(龍門)으로 뛰어올라 용으로 변했다는 내용을 표현하였습니다. 그림은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순간을 담아냈습니다. 중국 황허(黃河)강 상류의 등용이라는 큰 폭포에 관련한 설화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야기입니다. 강과 바다의 물고기들이 용문(龍門) 아래로 모여들었습니다. 용문(龍門)을 오른 물고기는 용이 될 것이고, 오르지 못한 물고기는 이마와 아가미가 부딪혀 상해를 입고 돌아옵니다. 큰 명성을 얻게 되는 것을 용문(龍門)에 비유했는데 임금님을 만나 뵈어 명성을 드높이는 일을 등용문(登龍門)이라고 말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과거 급제가 사대부 남성들이 출세하고 가문을 빛내는 방법이기 때문에 《어변성룡도》는 과거 급제나 출세를 상징하는 그림으로 인기가 높았다고 합니다. 한국과 중국에서 예로부터 공예와 회화의 소재로 활용된 잉어는 공예 영역에서는 고려시대 도자기 청자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 말기 백자에서도 등용문(登龍門) 패턴이 나타납니다. 잉어는 회화에서 조선 시대 전기에 먹으로 그린 그림 계열의 문인 그림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조선 시대 말기로 갈수록 채색이 더해져 민화로 많이 제작되었습니다. 《어변성룡도(漁變成龍圖)》는 《약리도(躍鯉圖)》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5. 심사정의 잉어 그림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1707년~1769년)
조선 시대 후기의 화가로 김홍도와 함께 조선 후기 대표적인 화가로 심사정이 있습니다. 그는 꽃이나 곤충, 동물, 풍경 그림에도 뛰어난 화가로 어려서는 정선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림을 공부하였다고 합니다. 이후에는 중국의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를 우리나라 식으로 흡수하고 탈바꿈하여 새로운 문인 그림 스타일을 확립하였습니다. 그가 환갑이 되던 해에 그린 잉어가 뛰어올라 해를 맞이한다는 뜻의 《뛰는 잉어》작품은 수염과 비늘을 하나하나 세밀하게 그려 사실적으로 표현한 잉어가 돋보입니다. 아래에 첨부한 그림이 그의 작품입니다.
6. 쏘가리 그림 의미와 상징
성공에 대한 열망은 쏘가리 그림에도 나타납니다. 옛날 사람들은 쏘가리를 궁궐의 이라는 단어의 끝에 글자와 발음이 유사하다고 쏘가리를 궁궐의 상징으로 여겼습니다. 더 발전시켜 과거에 급제하여 궁궐에 들어가 벼슬을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였습니다. 조선 시대 사대부의 사랑방을 장식하던 「문방도(文房圖)」의 소재에도 많이 사용했다고 합니다. 낚시 바늘에 꿰어 있거나 끈으로 아가미를 묶어 놓은 쏘가리를 그린 그림도 있는데 벼슬자리를 꼭 잡고 놓치지 않겠다는 뜻이었습니다.
7. 메기 그림 의미와 상징
메기와 대나무라는 말로 한자어 《점어죽간(鮎魚竹竿)》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풀리지 않는 고난이나 성취하기 어려운 일을 의미합니다. 비늘도 없이 매끄러운 매기가 대나무를 타고 올라간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고난을 극복하고 출세의 길로 들어선다는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민화 단청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화 화조도, 부부의 화합과 행복을 바라는 마음 (0) | 2022.05.14 |
---|---|
호랑이 나라의 민화, 까치와 호랑이 호작도(虎鵲圖) (0) | 2022.05.13 |
민화 영모화 강아지와 고양이 등, 화가 이암과 변상벽 (0) | 2022.05.12 |
민화 책가도, 우리나라의 정물화 책거리 (0) | 2022.05.12 |
민화 모란도 부귀를 상징하는 꽃 중의 왕 모란 (0) | 2022.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