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단청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청의 종류를 크게 나누어 보면, 가칠 단청, 긋기 단청, 모로 간청, 금 단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청의 종류에 따라 중요한 건물일수록 단청은 더욱 세밀하고 화려한 무늬가 나타납니다.
1. 가칠 단청
선이나 무늬를 그리지 않은 상태로 바탕 색을 칠한 것으로 가장 낮은 단계의 단청을 말합니다. 이것은 긋기 단청, 모로 단청, 금 단청의 바탕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구조물의 영구적인 보전에 가장 큰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통 사찰에서 승려들이 거주하는 건물인 요사채(寮舍채)와 궁궐과 능의 작은 문이나 작은 문인 협문에 사용합니다. 여기에는 뇌록과 석간주를 많이 사용합니다. 뇌록은 초록색 암석 가루에서 산출한 안료로 잿빛을 띤 녹색을 의미합니다. 경상북도 포항 근처 뇌성산 초록색 원석을 안료로 만든 뇌록은 우리나라 전통 안료로 현재는 양이 적고 가격이 비싸서 탱화나 동양화 채색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석간주는 붉은 산화철 성분이 많이 포함된 붉은 흙에서 산출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산출한 검붉은 안료입니다. 가칠 단청에는 육색(토육색, 주홍육색, 장단육색)과 옥색(분록) 혹은 분삼청(粉三靑)을 간혹 사용합니다. 백토, 황토, 청토, 토육색, 석간주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토 단창이라 부릅니다. 가칠은 모든 단청의 바탕 작업으로 볼 수 있는 아교포수와 바탕을 칠하는 것을 포함한 것입니다. 이 일을 하는 화원을 가칠장이라 하며, 이 일을 감독하는 사람은 가칠편수라 합니다.
2. 긋기 단청
가칠 단청에서 선을 추가한 것으로 좁은 줄을 긋는 단청입니다. 이것은 먹 긋기와 색 긋기로 크게 구별하여 나눌 수 있습니다. 바탕 색 위에 선을 치는데 먹 긋기는 먹색으로 분 긋기는 분선, 색 긋기는 각 색의 선으로 그립니다. 먹분 긋기는 먹선과 분선을 나란히 붙여서 그린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보통 검은색 먹과 흰색인 분을 함께 그린 것입니다. 이처럼 선만 그려도 훨씬 정돈되어 보이는 효과와 휘어진 곳이 곧게 보이는 효과를 줍니다. 이것은 검소한 단청으로 사당이나 부속 건물에 많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서까래 부리와 부연 부리에 간단한 매화점이나 연꽃 본뜬 무늬를 넣거나 도리 부리 창방 부리에 태평화를 넣기도 합니다. 이것을 모로 긋기 단청이라 합니다. 긋기 단청의 바탕 색에는 뇌록을 많이 사용하며, 연개판(椽蓋板)에는 주로 분칠했습니다. 태평화는 꽃무늬로 단청에서 꽃잎을 하얗게 그리고 꽃잎이 사방으로 퍼져 정면이 보이게 그린 것을 말합니다. 연개판(椽蓋板)은 서까래 위에 까는 널빤지입니다.
3. 모로 단청
칠하는 곳의 끝부분에 각종 무늬를 넣고 중간에는 바탕색에 선을 그린 것입니다. 평방, 창방, 도리. 대들보 등에는 양 끝에, 서까래와 부연에는 바깥 끝부분에 머리초를 넣었습니다. 중간 부분에는 뇌록을 바탕으로 선을 그려 마무리했습니다. 머리초에는 보통 연화, 녹화(綠花), 주화(朱花)를 배열하였으며, 휘는 늘휘, 인휘를 쓰고 바자휘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휘는 물건을 두르거나 감는다는 뜻입니다. 휘는 머리초가 형성된 후에 물결 무늬를 나타냅니다. 머리초는 무늬와 채색 수를 간략하게 하는 것이 원칙이었습니다. 모로는 머리의 발음이 변이된 것이라고 합니다. 휘 장식을 포함하여 머리초 문양의 적용 범위는 나무 건축재 길이의 약 삼분의 일 정도로 잡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이 양식은 금단청처럼 복잡하거나 화려하지 않고 단아하고 담백하여 주로 궁궐이나 사찰, 서당, 서원, 누각에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4. 금단청
단청 중에서 가장 복잡한 만큼 가장 화려합니다. 모든 곳에 빈틈없이 화려하게 표현했습니다. 긋기 단청과 모로 단청을 함께 사용하며 병머리초, 장구머리초, 겹장구머리초와 각종 휘를 사용했습니다. 칠하는 곳의 중간 부분에 비단 무늬를 넣거나 회화적인 수법으로 그린 장식하는 그림 별화(別畵)를 그렸습니다. 별화(別畵)의 종류에는 꽃을 그리거나 풍경을 그리기도 했으며, 인물이나 용과 봉황과 같은 동물 등을 그렸습니다. 벽화와 천장화도 그려야 했으므로 단청 기술과 동양화를 그리는 데도 매우 능숙해야 했습니다. 여러 종류의 휘와 빛의 수를 모로 단청보다 많이 사용하여 매우 다채롭게 하였습니다. 이것은 얼금 단청, 금단청, 갖은금단청으로 세분할 수 있었지만, 그 기준이 뚜렷하지 않습니다.
'민화 단청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청 문양의 기본 요소 기하 당초 자연 식물 문양 등 (0) | 2022.09.01 |
---|---|
한국 단청의 정의와 발생 요건 및 목적과 역사 (0) | 2022.08.25 |
민화 영락도, 불상과 불화를 장식한 영락을 그림 (0) | 2022.08.11 |
종교적 민화에 나타나는 불교의 상징물 정리 (0) | 2022.08.07 |
민화에 잘 그려진 꽃과 각 월을 상징하는 꽃 정리 (0) | 2022.08.02 |
댓글